몇 세기에 한번 나올까말까한 불세출의 영웅 [이도형 칼럼]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조회 4,724회본문
이도형 /칼럼니스트
이승만의 예지(叡智)와 배짱
우남 이승만(雩南 李承晩)은 예지와 배짱을 겸비한 지도자였다. 그는 적어도 수십년 후의 일을 꿰뚫어 보고 걱정하고 대책을 세우는 예지의 지도자다.
뿐만 아니라 보통 사람들은 언감생심 엄두도 못내는 일, 많은 사람들이 겁내는 일을 그는 아무렇지도 않게 해내는 지도자였다.
일본의 유명한 사회평론가 아이다 유지(會田雄次)는 사람을 세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첫 째는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사람. 회사원이나 공장의 기술자 같은 보통의 능력 있는 사람들이 이에 속한다. 두 번째는 보통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을 해내는 사람. CEO급 인간을 말한다. 회사 간부나 사장, 회장등이 이에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해서는 안 될 일’을 해치우는 인간형. 초인적인 대단한 능력을 가진 정치가. 바로 이승만과 같은 인물을 말한다.
이승만의 초인적인 능력과 예지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많은 학자들이 그 구체적인 사례들을 논문으로, 서책으로 엮어낸 바 있다.
예컨대 공산당과 정적(政敵)들이 맹렬히 반대하는 38선 이남만의 남한 단독정부를 수립했다든가, 1953년 6월 18일, 휴전 성립을 한달 남짓 앞둔 시점에서 2년여의 휴전협상을 깡그리 망가트릴지도 모를 반공포로 석방이라든가, 이승만은 ‘해서는 안될 일’을 수없이 저지르고 모두 성공 시켰다.
여기서는 그 밖의 비교적 덜 알려진 에피소드를 소개할까 한다.
이승만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여권 제1호 발행자이자 최초의 소지자였다. 그는 1919년 4월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배재학당 선배인 서재필(徐載弼) 박사와 함께 ‘신대한 건국구상(新大韓 建國構想)의 틀을 짜고 그해 8월 워싱턴 DC에 구미위원부(歐美委員部: The Korean Commission to America and Europe)를 설립한 직후, 중국 상해로 달려가 대한민국 임시 대통령직에 취임한 뒤 다시 미국으로 건너갔다. 그런데 외국에 나갔다가 미국으로 돌아갈 때마다 이승만은 늘 출입국에 애를 먹었다.
한국이 일본에 강제병합되면서 이승만도 다른 독립운동가들처럼 무국적자가 되었기 때문이다.
3.1운동 직후 미국에서 밀선을 타고 중국에 밀입국했던 이승만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 직에 있다가 여러 경위를 거쳐 워싱턴에서 1932년 말경 다시 제네바 국제연맹에 가게 되었다. 1925년 임시정부 의정원에게 대통령 탄핵안이 통과되어 다소 침체되었던 이승만을 임정이 다시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계기가 생겼다. 일본의 중국침략이 본격화 되면서 일본편에 섰던 미국 영국등 열강이 일본을 국제사회에서 몰아 세우기 시작한 1932년 11월 상해임정의 김구 주석은 이승만에게 전권대사로 제네바에 가 줄것을 간청했다. 이승만은 쾌락하고 미국을 떠나려는데 재입국 비자가 나오지 않았다. 미국 국무성에는 이승만을 탐탁치 않게 여기고 미워하는 관리가 많았기 때문이다.
이승만은 프린스턴 대학 총장으로 있는 우드로 윌슨(후에 28대 대통령)을 찾아갔다. 이승만은 윌슨에게 국무성 관리들이 재입국 허가를 안해준다면서 주선해 줄것을 부탁했다.
윌슨은 이승만에게 “간단한 방법이 있다”고 했다. 미국 시민권을 신청하라는 것이었다. 이승만은 그건 말도 안된다며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나는 이래뵈도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이다. 어찌 남의 나라 시민권을 받겠는가.”고 항의하듯 따졌다. 윌슨은 이승만의 이 한마디에 강렬한 충격과 감명을 받았다.
윌슨은 국무성에 연락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의 재입국 비자를 받도록 해주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대한민국 지도층에는 이런저런 이유로 미국 시민권을 획득하여 이중국적을 지닌 사람들이 드물지 않았다.
그 당시에도 서재필, 안창호등 어지간하면 미국시민권을 획득한 ‘독립운동가’가 적지 않았다. 이승만처럼 미국서 5년동안에 학사(조지워싱턴대), 석사(하버드대), 박사(프린스턴대) 학위를 두루 받고 외국여성과 결혼까지 한 사람이 미국 시민권 권유를 뿌리친 것은 그의 조국독립에 대한 열의와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증명하고도 남음이 있다.
이승만을 대한민국의 다른 역대 대통령(7명)과 동열에 놓거나, 심지어는 박정희 김대중 노무현만도 못한 평가를 내리는 일이 있다. 여타 대통령들을 굳이 폄하할 생각은 없지만, 이승만은 몇세기에 한번 나올까 말까 한 위대한 지도자다. 이것을 못 알아보는 한국민에게 하늘은 복(福)보다 화(禍)를 더 내려주시는 건 아닐까.
이승만의 위대함은 일일이 열거하기도 바쁘지만, 그중에서도 1952년 1월18일의 평화선 선포, 1953년 6월18일의 반공포로 석방---이 두가지 만은 이승만이 아니면 해내지 못할, 이승만 특유의 타고난 뱃심의 산물이다.
첫째 평화선.
한반도 해안으로부터 평균 60마일까지 선을 긋고 모든 외국선박의 어업을 엄금한 것이다. 동시에 이 선은 적의 함정의 침투를 막는 방어선이기도 했다.
이승만 대통령이 이 선을 평화선이라고 선포한지 8개월후인 1952년 9월 유엔사령관 마크 W 클라크 대장은 한반도 주면 9백킬로미터까지 선을 그어 해상방어지대(Sea Defense Zone)를 선포하였다. 이는 전쟁이 진행중이던 당시 순전히 작전목적을 위해 유엔군 선박외에는 허가없이 못 들어오도록 한 조치였다.
이승만은 그만큼 선견지명이 있었던 것이다. 그는 아마도 제2차 세계대전 종전직후 연합군 총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한국과 일본의 해역을 구분하기 위해 설정한 맥아더 라인에서 힌트를 얻었는지 모른다. 어쨌든 이승만은 미증유(未曾有)의 전쟁을 치르면서 국방과 경제 양측면을 고려하여 평화선을 선포한 것이다.
더구나 이승만이 ‘해양주권선’이라 하여 선포한 평화선은 일본과 예비회담을 거쳐 겨우 본회담을 열기로 합의한 한일회담(국교정상화)이 열리기 한달 전의 일이었다.
이승만은 일본측의 간담을 서늘케 만든 것이다.
이승만은 일본이 한국을 36년간 강제로 지배한 보상으로 36억달러를 받아내야 한다고 한일회담 대표들에게 역설했다. 그 당시 일본의 외환보유고는 1억달러도 안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6.25 전쟁덕분에 일본은 1950년 1월부터 1955년 6월까지 무려 16억1천900만 달러(계약고 기준)를 벌어들였다. 이른바 ‘한국 특수’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제1차 한일회담이 열린 1952년(1월)만 해도 일본은 가난했다. 이승만은 그런 일본과 지금 타결할 필요가 없다고 계산한 것이었다.
본회담 대표로 부임하는 헌법학자 유진오(兪鎭午)등에게 이승만은 당부했다.
“그대들은 본회담을 타결짓지 않아도 괜찮아.”
의아해 하는 유진오가 “그럼 언제 타결 짓습니까?” 물으면 이승만은,
“그대들이 다 죽은 다음 후세대에 가서 타결지어도 늦지 않아.”라고 대답했다.(이도형 저 ‘흑막’(黑幕)-한일외교교섭비화 p66)
사실 이승만의 예측대로 되고 말았다.
이승만은 당시 한국 대표단원들이 과거 일제하에서 선생이나 선배의 위치에 있던 일본대표들을 상대로 회담을 해야 했기 때문에 자칫 불리한 조건으로 타결될 것을 우려했던 것이다.
일본에서는 ‘리(李) 라인’으로 불리던 평화선은 그후 얼마 안되어 ‘전관수역’(專管水域)등으로 세계적인 추세가 되었다.
둘째 반공포로 석방.
먼저 이승만 대통령은 왜 국제법(제네바협정등)을 위반해가면서까지 반공포로 2만5천명을 석방 시킨 것일까. 우선 이것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반공포로 석방일 현재로 부산 마산 논산 및 상무대등에 분산 수용된 북한인민군 포로들 가운데 북한으로 송환을 원하지 않는 반공포로는 3만5천400명 정도였다.
그런데 이들은 매일 몇사람씩 공산당 세포들로부터 타살(打殺)당하곤 했다. 공산당세로들은 자기들이 죽여놓고는 “악랄한 국군놈들이 죽였다“며 역선전을 계속했다.
그래서 반공포로들은 일단 분리 수용했으나 공산당 세포들의 침투로 타살사고는 끊이지 않았다. 이런 보고를 접한 이승만은 기왕에 한국민의 염원에 배치되는 휴전협상이 성사될 바에야 북송될 처지에 놓인 반공포로들을 자유롭게 풀어줘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포로수용소는 한국군 경비대를 포함한 유엔군 관리하에 있었다. 이승만은 유엔군 관할 밖에 있는 원용덕(元容德) 헌병사령관(육군중장)에게 비밀명령을 내렸다. 원사령관 휘하의 경비헌병들이 반공포로들을 석방시키라고.
이승만의 지령은 1953년 7월 18일 새벽(12시~5시) 절묘하게 집행 되었다. 이 과정에서 971명이 잡혀 수용소로 되돌아 갔고 61명이 사살되었으며 116명이 부상했다.(US Army in the Korean War: Truce and Fighting Front, p451)
이승만의 쾌거는 세계를 놀라게 했다.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처칠 영국 수상등은 이승만 대통령을 맹렬히 비난했다.
그러나 이승만은 “당신들이 무엇 때문에 한국에 파병했느냐? 자유를 위해서가 아닌가. 나는 2만5천명의 자유와 생명을 위해서 한 일이다.”라고 그들을 침묵시켰다.
이승만의 예지와 배짱은 대한민국을 창건하고 위기에서 구해냈다. 몇 세기에도 나타나기 어려운 불세출(不世出)의 영웅이다. 나라가 망할 때 하나님은 이승만을 한국에 내려보내 주셨다. 지금 우리는 또 다른 국가적 위기에 처해있다.
이승만과 같은 인물이 절실하게 필요한 때다.
[출처]뉴데일리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0/08/12/2010081200074.html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